-
리튬영양제 진짜 치매에 도움이 되는가?개선효과가 있을까?건강정보 2025. 8. 12. 13:09반응형
🤫 감정의 롤러코스터, 리튬은 정말 만능일까? (ft. 의약품 vs. 영양제 vs. 식품)
"리튬"이라고 하면 보통 조울증 치료제를 떠올리실 겁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영양제로도 판매되고, 심지어 특정 음식에도 소량 들어있다는 이야기가 들리면서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합니다. 과연 리튬은 모든 형태에서 같은 역할을 할까요? 치료 효과를 얻으려면 영양제나 음식을 먹어도 될까요? 이 모든 궁금증을 명확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
1. 리튬, 알고 보면 다 같은 리튬이 아니다
리튬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네랄이지만, 어떤 형태로 섭취하느냐에 따라 그 역할과 양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크게 의약품, 영양제, 식품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의약품 (탄산리튬) 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 치료를 위해 의사의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리튬입니다. 하루 복용량이 600mg~1800mg으로 매우 높고, 치료 효과를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혈중 리튬 농도를 높입니다. 이 때문에 부작용의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혈액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2. 영양제 (리튬 오로테이트) 치료 목적이 아닌, 미네랄 보충을 위해 섭취하는 리튬입니다. 복용량은 1mg~10mg으로 의약품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뇌 건강, 기분 안정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의약품처럼 질병을 치료하는 목적은 아닙니다.
3. 식품 우리가 평소에 먹는 음식에도 아주 미량의 리튬이 들어있습니다. 정확한 함량은 측정하기 어렵지만, 이 양으로는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단순히 우리 몸의 정상적인 미네랄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구분 형태 하루 섭취량 주요 목적 부작용 가능성 의약품 탄산리튬 600mg ~ 1800mg 조울증 등 질병 치료 높음 (의사 관찰 필요) 영양제 리튬 오로테이트 1mg ~ 10mg 미네랄 보충 낮음 식품 자연 함유 미량 미네랄 균형 유지 거의 없음
2. 치료 효과와 부작용의 상관관계
"리튬은 치료 농도와 독성 농도 사이의 범위가 매우 좁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치료에 효과적인 혈중 리튬 농도(0.6~1.2 mEq/L)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독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의약품 리튬은 의사의 처방과 꾸준한 관찰이 필요한 것입니다.
- 의약품 복용 시: 손떨림, 메스꺼움, 체중 증가, 신장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영양제 및 식품 섭취 시: 복용량 자체가 극히 적기 때문에 의약품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감자, 두부, 현미밥 같은 음식에 들어있는 리튬으로는 치료 효과를 낼 수 없습니다.
음식에 포함된 리튬은 워낙 미량이기에 부작용 걱정 없이 섭취할 수 있지만, 치료 목적으로는 부적합합니다.만약 기분 변화나 정서적인 어려움으로 리튬 복용을 고민 중이라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음식이나 영양제는 치료의 영역이 아니라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리튬이 많이 든 음식 Top 15: 치매와 알츠하이머를 예방한다!!
리튬, 치매 예방의 새로운 열쇠? 식탁에서 찾는 건강한 미래 최근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팀이 뇌 속 리...
blog.naver.com
반응형'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튬이 많이 포함된 음식들 안내!!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을 이겨내자 (4) 2025.08.10 러브버그 퇴치방법 진짜 가이드~!! (2) 2025.07.01 통풍인데 커피를 먹어야하나 말아야하나? 전문가가 추천하는 5가지 기준! (0) 2025.05.30 고지혈증과 고혈압의 상관관계: 심장 건강을 위한 5가지 필수 사실! (1) 2025.05.30 혈압약만큼 효과가 큰 고혈압 음식 10가지 공개!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1) 2025.05.30